2010년 12월 6일 월요일

Marcus Borg and the Bible 마커스 보그와 성서



Marcus Borg and the Bible – written down from YouTube
Dictated & Translated by Seung Joo Lee


If this trial is illegal something then please let me know. Also, there's no insistence. So it is just showing something you would be interested.
유튜브 동영상을 받아적었습니다. 혹시 불법이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마커스 보그를 아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처음 접하셔서 거부감이 있으면 이해 바랍니다.

(시작)
Reclaiming the Bible as a vital resource in the life of congregations and in a life of Christian individua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mainline congregations today.
성서를 교회의 존립과 기독교인 개인의 삶에 중대한 자원으로 개선하는 일은 오늘날 정통 교단에 속한 교회들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And that’s because many of us in the mainline grew up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bible that stopped making sense to us at some point.
그것은 정통 교단에 속한 대다수의 우리들은 어떤 점에서 우리에게는 말이 되지 않는 하나의 성서 이해를 가지고 자랐기 때문이다.
And this understanding stopped making sense to many of us is a literalistic understanding either in hard form or soft form.
그리고 우리 많은 사람들에게 말이 되지 않는 이러한 이해는 강경한 형태이거나 온화한 형태의 문자주의적 이해이다.
Now the hard form of the Biblical literalism is the insistence that everything the Bible says is the absolute will of God and that if it says something happened then that thing really happened.
강경한 형태인 성서적 문자주의는 성서가 말하는 모든 것이 절대적인 하나님의 뜻이며 만약 성서가 무슨 일이 일어났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실제로 일어났다고 하는 주장이다.
It’s very much concern for factuality as well.
이 주장은 사실성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기도 하다.
And at some point, for most of us in mainline churches, that understanding of the Bible we acquired as children simply stopped being persuasive to us.
그리고 정통교단 소속의 교회들 안에 있는 우리 대부분에게는, 어린 시절 우리가 배운 성서이해가 어떤 시기에 와서는 쉽게 우리에게서 설득력을 잃었다.
Shorthand for that understanding of the Bible of course is Biblical literalism.
성서에 대한 그러한 이해를 짧게 말하면 당연히 성서적 문자주의이다.
And again, it exists in both hard and soft forms.
그리고 다시 말하면, 그러한 이해는 강경한 형태와 온화한 형태로 존재한다.
So, one of the main tasks for congregations today is to do adult theological reeducation about the Bible.
그래서, 오늘날 교회의 주요한 과제들 중 하나는 성서에 대한 성인 신학 재교육을 하는 것이다.
And this will concern above all the three questions of the Bible: its origin, its authority, and its interpretation.
그리고 이러한 교육은 성서에 대한 세 가지 질문들을 우선적으로 취급할 것이다: 성서의 기원, 성서의 권위, 그리고 성서의 해석.
For an earlier way of looking at the Bible, basically the foundation of literalism in hard or soft terms, the Bible is seen as divine product.
앞에서 기본적으로 강경한 또는 온화한 언어들 안에 있는 문자주의의 기초인 성서를 보는 초기의 방식에 있어서, 성서는 신성한 하나님이 주신 산물로 보여진다.
The hard form of that is because it comes from God, it is, therefore, inherent or invariable.
문자주의의 강경한 형태는 성서가 하나님으로부터 오고, 그러므로 성서는 고유한 것이거나, 또는 불변하기 때문이다.
The soft form simply says that the Holy Spirit guided in such a way that there is no serious mistakes in it and that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Bible’s authority because the Bible comes from God as no other book does.
온화한 형태는 단순히 말하기를 성서 안에 심각한 실수가 없는 그런 방식으로 성령께서 안내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 이해는 다른 책들은 그렇지 못하지만 성서가 하나님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라고 하는 성서의 권위에 대한 이해로 이끈다.
That’s why it has authority and then finally for this earlier view the Bible is read literally again in hard or soft forms.
그것이 바로 성서가 권위를 가지는 이유이고 그래서 결국 이전에 살펴본 관점에 대해서 말하자면 성서는 다시금 강경한 형태나 온화한 형태에서 문자적으로 읽혀진다.
The hard form would lead to arguing against evolution, for example, because evolution conflicts with the Biblical account of creation.
강경한 형태는, 예를 들어, 진화에 반하는 논쟁을 이끈다 왜냐하면 진화는 성서의 창조 이야기와 모순되기 때문이다.
The soft form can accept evolution alright but it still insists that the most spectacular thing is in the Bible really happened pretty much as they are described.
온화한 형태는 진화를 그렇다고 받아들일 수 있으나 그것은 여전히 가장 위대한 것은 그 본문들이 묘사하는 것처럼 실제로 일어난 성서 안에 있다고 주장한다.
Now the alternative to that way of seeing the Bible which I think is what congregations need reeducation about is the way of seeing the Bible that’s been emerging for the last couple of hundred years in mainline Biblical scholarship.
지금 성서를 보는 그 방법에 대한 대안은, 내가 생각하기에 교회가 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인데, 정통 교단 소속의 성서학 안에서 지난 이 백년 동안에 등장한 성서를 보는 방식이다.
In fact, it’s taught in basically all seminaries of the mainline churches. And this way of seeing the Bible sees the Bible as a human product, not as a divine product.
사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정통 교단의 교회들의 모든 신학교들 안에서 가르쳐져 왔다. 그리고 성서를 보는 이 방법은 성서를 하나님의 산물이라기 보다 인간의 산물로 본다.
It’s the product of two ancient communities.
성서는 두 고대 공동체들의 산물이다.
The Jewish Bible, the Christian Old Testament is of course the product of ancient Israel and New Testament is the product of the early Christian movement. And as the product of these two ancient communities, it tells us not what God thinks but what these early ancient communities thought tells us about their stories about God, about what they thought God was like, about what they thought life with God involved.
유대인들의 성서인 기독교의 구약성서는 물론 고대 이스라엘의 산물이며 신약성서는 초대 기독교 운동의 산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대의 두 공동체들의 산물로서, 성서는 우리에게 하나님에 대한, 그들이 생각하기에 하나님께서는 어떤 분이신가,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과 함께 사는 삶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에 대한 그들 공동체의 이야기들을 말씀한다.
And as the product of our spiritual ancestors, it’s extraordinary valuable to us. It puts us in touch with their perception with their experience, also puts us in touch with their limitations and with their partial vision and so forth.
그리고 우리의 영적 조상들의 산물로서, 성서는 우리에게 대단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성서는 우리를 고대 공동체들의 이해와, 그들의 경험과 닿게 하며 또한 우리가 그들의 한계와 그들의 부분적인 관점, 그리고 다른 것들과 닿도록 한다.
So it’s not and unambiguous treasure. But it is a treasure and earth in vessels and its authority for this earlier view, is that our spiritual ancestors at some point declared these documents to be authoritative to be scripture.
그래서 성서는 명확한 보물이다. 그러나 그것은 보물, 그릇에 담긴 흙이다. 그리고 앞에서 본 관점에서 성서의 권위는 우리의 영적 조상들이 어떤 점에서 이러한 문서들을 권위 있게 하기 위해 성서라고 천명한 것이다.
This is the process of canonization and thus our spiritual ancestors were saying to be part of this tradition means to accept these documents as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we know.
이것이 정경화의 과정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우리의 영적 조상들이 이러한 전통의 부분이 되는 것은 이러한 문서들을 우리가 아는 가장 중요한 문서들로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라고 말해 온 것이다.
And to live within the world created by this stories, by this vision the Bible for this view is the Christian identity document.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의해 그 이야기들에 의해 창조된 세계 안에 살기 위해서 이러한 관점을 위한 그들의 성서가 기독교인 정체성 문서라는 것이다.
It’s the Christian foundational document.
그것은 기독교의 기초가 되는 문서다.
And then finally, its interpretation, this emerging view emphasizes what I call in shorthand, a historical-metaph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서의 해석, 이러한 떠오르는 관점은 내가 짧게 말할 때 성서에 대한 역사적-은유적 해석 이라고 부르는 것을 강조한다.
Historical means something very simple even though working it out can be detailed and complex.
역사적이라는 말은 그것을 실행할 때 상세하고 복잡하지만 아주 단순한 어떤 것을 의미한다.
Historical means we asked the question what did these texts mean in their ancient context and that can be powerfully illuminating both of their powery shaped lives today as well as of their limitations.
역사적이라는 말은 이러한 본문들이 그들의 고대 상황에서 무엇을 의미 했는가라고 우리가 질문했던 것이고 역사적 방법은 그들의 한계들과 더불어 오늘날 강하게 형태 지어진 그들의 삶 까지도 강력하게 조명할 수 있다.
And metaphorical approach asks what is the more than literal, the more than factual meaning of these stories and it’s always been the more than literal, the more than factual meaning of these stories that it matters the most.
그리고 은유적 접근은 무엇이 문자적인 것 이상, 이러한 이야기들의 사실적인 의미 이상인 것, 그리고 그것이 항상 문자적인 것 이상,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 되는 이러한 이야기들의 사실적인 의미 이상의 것이었던 것이 무엇이냐고 질문한다.
I sometime speak they said parabolic meaning of scripture.
나는 때로 그들이 본문의 비유적 의미를 말했다고 이야기한다.
We all know that parables that the parables of Jesus aren’t factually true.
우리 모두는 비유들, 즉 예수님의 비유들이 사실적으로 진실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I don’t know any Christian who would argue that the parable prodigal son had to happen otherwise it’s not worth paying attention to.
나는 그 탕자의 비유가 진짜 일어난 사건이라야만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다고 주장할 만한 어떤 기독교인도 알지 못한다.
But we all recognize those stories are truthful in the sense of being truth-filled.
그러나 우리는 모두가 그러한 이야기들이 진실로 가득하다는 의미에서 진실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So also to read the Bible with any historical-metaphorical frame work is to recognize that the Bible is full of parabolic truth-filled stories, stories that are told because of their surplus of meaning.
그래서 또한 어떠한 역사적-은유적 구조 작업으로 성서를 읽는 것은 성서가 비유적 진실이 가득한 이야기, 의미에 대한 그들의 남겨진 것 때문에 말해 진 이야기들로 가득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So communicating that vision of the Bible to our congregation, so that they can reclaim it is vitally important.
우리의 회중에게 성서에 대한 그 비전을 알리기 위해서, 그래서 그들이 성서가 중대하게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알리기 위해서
I think one of the short comings of much of the mainline church over the last half century has been that we have virtually abandoned the Bible to our more conservative Christian brothers and sisters.
내 생각에, 지난 반 세기에 걸쳐, 많은 정통 교단 교회들의 단점들 중 하나는 우리가 사실상 성서를 우리의 좀 더 보수적인 기독교인 형제와 자매들에게 넘겨주고 말았다는 점이다.
And we abandoned it because we can’t take it literally anymore.
그리고 우리가 성서를 문자적으로는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성서를 포기했다.
But we haven’t had a persuasive, compelling, and powerful alternative to put in its place.
그러나 우리는 성서의 자리에 둘 설득력 있는 마음을 끄는 강력한 대안을 가지지 못했다.
And I think the Bible continues to be the primary means where by God still speaks to us today.
그리고 나는 성서가 하나님께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주요한 수단이 되는 것을 지속한다고 생각한다.
Now as an Episcopalian, an Anglican myself I would say God speaks not simply or only through the Bible.
자, 나 자신, 감독교회원, 영국성공회원으로서, 나는 하나님께서 단순히 또는 오직 성서만을 통해서 말씀하시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겠다.
God also speaks through reason, through the Christian tradition more fully understood, and through experience.
하나님께서는 또한 이성을 통해서, 더욱 완전하게 이해된 기독교의 전통을 통해서, 경험을 통해서 말씀하신다.
And so, all of these together are ways that God still speaks to us.
그래서, 이러한 것 모두가 같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아직도 말씀하시는 방법들이다.
But what distinguishes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God speaking is that a Christian understanding takes very seriously the Bible and, above all, the figure in person of Jesus as the primary ancient disclosure of the character and passion of God.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기독교인의 이해를 식별하는 것은 기독교인의 이해는 성서를, 그리고 무엇보다 하나님의 성품과 열정에 대한 주요한 고대의 계시로서의 예수의 인성 안에 있는 모습을 아주 신중하게 받아들이는 것이라는 점이다.

댓글 없음: